작성일 2022-07-18
[독자기고] 합천군 젖줄 황강 물 이용하려면 합천군민들에게 먼저 물어보는 것이 순서
문정욱 (前)합천읍청년회장
지난 7월 1일 부산지역 모 일간지에 “합천·창녕 물 부산 공급 길 열렸다... 2조 원대 예타 통과” 낙동강 먹는 물 공급체계 정부 사업 확정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접했다.
핵심내용이 합천 황강 복류수와 창녕 강변여과수를 개발해 부산과 동부 경남에 하류 평균 90만톤을 공급할 수 있는 취수시설·관로 102.2㎞를 2025년에 착공해 2028년까지 준공한다는 내용이었다.
직접적인 이해당사자인 합천군과는 아무런 논의도 없이 기획재정부는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시켜 정부사업으로 확정하고 밀어붙이기식 사업을 진행시키려 하고 있다. 합천군민들이 반발하는 것이 정부의 이같은 계획이 합천군민들의 의사와는 전혀 상관없이 추진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6월에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가 조건부 의결한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에는 사업을 착공하기 전까지 주민 동의를 구한다는 조건이 달려 있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그럼, 주민동의가 조건부 의결인 만큼 합천군민이 결사 반대하는 취수장 건설을 아무리 정부사업이라도 과연 추진할 수 있을까?
만약, 주민 동의없이 무리하게 사업이 추진된다면 1996년의 상황이 또다시 재현될지 모른다. 합천군민은 1996년 부산시에 50만톤을 공급하는 황강취수장 건설을 강력히 반대하며 백지화시킨 저력이 있다.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깨끗한 물을 마셔야 된다.
물을 공급받아 수혜를 입는 대도시 주민들은 물은 공공재인데 같이 나눠쓰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왜! 합천군민들이 목숨걸고 물 공급을 반대하는지는 한 번 생각해 봐야 한다. 지역이기주의가 아닌 합천군민의 생존권 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황강을 끼고 대대로 살아온 삶의 터전이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묶여 군민 생활이 불편해지는 고통은 감수하더라도 농업용수 고갈로 농·축산업 생산기반을 붕괴시키고 황강 주변지역 개발이 불가능해져 재정자립도가 최하위권에 있는 합천의 지역소멸로 이어질지 모를 일이다.
합천의 브랜드슬로건은 ‘水려한 합천’이다. 황강, 합천호의 맑은 물과 수려한 경관의 고장 합천군을 표현한 말이다. 합천군민이 황강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함축하는 말일 것이다.
합천군의 젖줄인 황강 물을 이용하려는 정부의 방침에 앞서 합천군민들에게 먼저 의사를 물어보는 것이 순서가 아닐까 생각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